경제를 공부하다보면 주기적으로 여러 보고서가 나오고, 여러 지수가 나온다. 이러한 결과 발표는 주식 시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발표일을 기준으로 시장이 들썩일 수 있다. 그중에서도 금리 조정과 밀접하게 관련된 소비자물가지수(CPI)에 대해 알아보자.
소비자물가지수(CPI)란?
소비자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CPI)는 소비자가 구매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는 지표이다. 소비자의 생활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는 물가의 변동을 나타내기 때문에 중요한 경제지표 중 하나이다. 소비자물가지수는 라스파이레스방식으로 산출되며, 매월 통계청에서 발표한다.
CPI가 크게 상승했다는 것은 물가가 많이 올랐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CPI는 현재 경기, 물가 상승 정도를 판단하는 일종의 기초자료인 셈이다. 포함되는 항목은 주거비용, 식품, 생필품, 교통비, 의료 관련 비용이다. 연도별로 추가품목과 탈락품목이 있어 품목의 변동이 있다.
소비자물가지수와 금리의 관계
CPI의 발표로 주식 시장이 흔들리는 것은 CPI가 금리 조정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CPI가 상승하면 물가가 올랐다는 이야기이고, 물가가 올랐다는 것은 금리를 인상해서 물가를 안정시키겠다는 것으로 이어진다. 이게 무슨 말일까?
1. CPI 상승시 금리 인상하여 물가 안정 도모
물가가 오르는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금리를 인상하면, 사람들은 투자보다는 저축으로 눈길을 돌린다. 금리가 높아져 예전보다 더 많은 이자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금리가 높아져 대출이 줄어든다. 돈을 빌리면 예전보다 더 많은 이자를 내야 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은행에 돈이 묶이면서 시중의 통화량은 줄어들고, 경기가 둔화된다. 사람들의 소비가 줄어들면서 공급가도 점차 낮아져 물가가 안정을 되찾게 된다.
2. CPI 하락시 금리 인하하여 경기 부양 도모
반대로 물가가 크게 오르지 않아 안정적인 상황에서는 금리를 인하하게 된다. 금리를 낮아지면, 저축해서 얻는 이자가 적기 때문에 저축보다는 투자를 해서 돈을 벌고자 한다. 또한 돈을 빌렸을 때 갚아야 하는 이자가 줄어들기 때문에 대출이 많아진다. 이렇게 시중에 통화량이 늘어나면서 사람들의 소비가 늘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시장은 점차 활발해진다. 즉, 아직은 물가가 괜찮은 편이니 금리를 내려서 경기를 부양시키는 것이다.
한국의 소비자물가지수
2024년 5월,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지수는 114.1이다. 이는 2020년의 지수를 100으로 둘 때의 환산지수이다. 같은 해 4월은 114, 3월은 113.9, 2월은 113.8, 1월은 113.2이다. 연도로 보면, 2023년은 111.6, 2022년은 107.7, 2021년은 102.5으로 매년 꾸준하게 상승하고 있다.
예상보다 물가가 안정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판단되어 금리는 한동안 동결될 전망이다. 2024년 5월을 기준으로 한국의 기준금리는 3.5%로 동결되었다.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
미국도 마찬가지로 매월 노동통계국에서 CPI를 발표한다. 보통 매월 10일 전후로 발표하는 편이다. 2024년 6월,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는 314.07이다. 같은 해 5월은 313.55, 4월은 312.33, 3월은 310.33, 2월은 308.42, 1월은 306.75이다. 역시나 꾸준하게 상승하고 있다.
원래 올해 미국의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가 컸는데, 이번 6월에 CPI 결과 이후 6월 금리는 동결되었다. 2024년 6월을 기준으로 미국의 기준금리는 5.5%로 동결되었다. 그리고 연내 금리 인하 전망이 3회에서 1회로 낮춰졌다. 물론 다른 지표의 영향도 많지만, 예상보다 물가상승률이 낮았기 때문이다. 낮은 물가 상승률은 점차 인플레이션이 개선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